직장인을 위한 블로그 생활 10가지 규칙
직장을 다니며 블로그를 쓰고 있다면 다음 10가지 규칙을 참조하는 것이 좋다. (출처 : blog.naver.com/kickthebaby)
1. 블로그의 주소를 알려 주지 말라.
단 한 사람에게 알려 주었다면 직장 동료 모두가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낫다.
2. 직장에 대한 이야기를 하지 말라.
실제로 국외에서 이미 직장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가 해고 당한 사례가 존재한다.
3. 동료에 대한 이야기는 더더욱 하지 말라.
그/그녀가 무슨 짓을 했는 지 쓰는 것은 회사 정문에 대자보를 붙이는 것과 같다.
4. 업무 시간에 블로그에 글을 쓰지 말라.
굳이 써야겠다면 블로그의 posting date를 삭제하거나 변조하라.
5. 회사 내부의 정보를 발설하지 말라.
사소한 업무에 대한 내용조차 경쟁자에게 좋은 정보가 될 수 있다.
6. 업무 일정표로 사용하지 말라.
몇 시에 누구를 만나고 회의가 있고 제안서를 써야 한다고 블로그에 쓰지 말라.
7. 투덜거지리 말라.
회사 상사나 동료나 업무 스타일이나 프로젝트에 대해 투덜거리지 말라, 특히 상사에 대해.
8. 숨어 있는 눈(eye)을 잊지 말라.
학문적으로도 검증된 6단계 이내의 인맥을 거치면 다시 자신에게 돌아옴을 잊지 말라.
9. 좋은 정보를 내놓지 말라.
회사에서 입 다물고 있는 자가 블로그에 온갖 정보를 내 놓는다면?
10. 완벽한 익명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아무리 자신을 숨긴다고 해도 언젠가 밝혀지게 된다.
이상 10가지를 읽고 자신의 블로그를 돌이켜 보라. 만약 5가지 이상이 자신의 블로그에 해당한다면 그 회사는 직원들이 블로그에 회사의 이야기를 적는 것을 원치 않는다는 말이다. 굳이 회사에 블로그에 대한 규정이 없더라도 충분히 추측할 수 있다.
여러분이 용감하게 회사에서 잘리거나 인사고과에서 나쁜 점수를 받거나 회사 직원이 당신의 블로그를 감시하는 것을 받아 들이라고 제안하지 않는다. 겁이 난다면 회사에 대한 이야기를 전혀 적지 않거나 블로그를 폐쇄해 버리는 게 낫다.
블로그를 쓴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지만 해고의 위험을 감수할 정도인 지는 개인적인 판단이 필요하다.
—————————————
블로그 뿐만 아니라 이런 홈페이지도 마찬가지 인듯합니다. 또한 직장인에게만 굳이 국한된것이 아니라 학생이나 일반인에게도 적용되는 듯합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A학생이 학교에서 B학생과 말다툼등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A학생이 자신의 싸이홈피나, 이런 개인홈에 뭐 B와 다퉜다, 그런데 어떻더라 ..뭐 이런식으로 글을 적어두면 T.B된 글에서도 나타났듯이 관계의 6단계법칙(6 Degrees of Separation)이 적용되면 관계를 거치고 거쳐서 그 내용이 B학생에게 내용이 들어가게 되게 될수도 있는 것입니다.(정확한 이야기는 아니지만..) 그렇기에 포스팅은 어떠한 내용이든 어떠한 상황이든지 신중하여야 한다는 말인것입니다.
Leave a Reply